http://ask.nate.com/knote/view.html?num=3507980&sq=%B1%B9%C1%A6%B1%E2%B1%B8%C1%F7%BF%F8+%B8%F0%C1%FD+%BE%C8%B3%BB

 

국제연합(國際聯合)의 날 : 10월 24일

 

 

국제연합(UN)

 

http://www.iskylover.com/315d - [관련 사진 자료]

목차

#. 국제기구란 무엇인가

Part 1. What is UN Man?
1. UN Man의 정의
2. UN Man의 구체적 소속기관

Part 2. UN Man 파헤치기
1. UN Man의 종류와 직급
2. UN Man 채용방법
3. UN 속의 한국인 되기
1) UN 국별 경쟁시험(NCRE)
2) YPP(Young Professional Programme)
3) 외교통상부의 지원(인력 pool제도)
4) JPO(국제기구초급전문가)
5) 인턴십
6) 유엔자원봉사단(UNV : UN Volunteers)

Part 3. Tip for future UN Man
1. 한석란 UNDP 양성평등 사무국장 강연회
2.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 남궁곤 교수님 인터뷰
3. 유엔과 국제활동 정보센터(ICUNIA) 운영자 장은하 씨
4. from books

Part 4. To our Career
1. 개인 장, 단기계획서
2. 참여 프로그램

UN 속의 한국인 되기 - UN으로의 구체적인 진출 방법
1) 유엔 국별경쟁 시험 (NCRE_National Competitive Recruitment Examination)

(1) NCRE란?
- 직원 채용시에 지리적 배분원칙(Geographic Distribution)을 적용하여 예산분담률 대비 적정진출규모(Desirable Range)에 미달하는 회원국의 국민을 대상으로 국별경쟁 시험을 실시, P-1~P-3급 실무직원을 신규 채용한다.

우리나라의 진출규모는 2000년까지는 적정진출 범위에 속해 있었으나 2001년에는 유엔분담률 상승으로 과소진출(under-represented) 국가로 분류되어 2002년~2009년도 국별경쟁 시험을 유치하였다.

(2) 우리나라와 NCRE
1992~2009년까지 총 12회의 시험을 치른 우리나라는 2010년 2월 현재, 총 59명의 우리 국민이 합격하였으며, 이중 35명이 임용(현직은 33명)되는 등 우리 국민의 유엔 사무국 진출의 가장 중요한 통로로 기능하고 있다.

2) YPP(Young Professional Programme)
일부 국제기구에서 미진출 또는 과소진출(under-represented) 상태에 있는 회원국 국민들을 위해 운영하는 특별 프로그램. 정부추천자에 대해 서류전형 및 면접을 실시, Young Professional을 선발하고 일정기간 실무수습 후 근무실적에 따라 정규직원으로 채용하는 제도로 채용 해당기구가 경비를 부담한다는 점에서, 파견국 정부가 경비를 부담하는 JPO제도와의 차이가 있다.
cf) YPP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국제기구 : UNESCO, OECD, FAO, World Bank, IBRD, UNDP, UNICEF


3) 외교통상부의 지원(인력 pool제도)

(1) 국제기구 진출관련 정보의 적시 제공
국제기구에서 제공하는 직원모집공고(Vacancy notice), 채용 前 프로그램(ILO의 Young Professional Programme 등), 유엔 국별 경쟁시험 등 국제기구진출 관련 정보를 재외 공관을 통해 수시 입수하여 "국제기구 채용정보" 홈페이지를 통해 수시제공하고, 인력 Pool에 등록한 국민에게 E-mail로 안내.

(2) 채용 응모시 정부의 적극적 지원
우리 국민이 최종면접 대상자(Short-list)에 포함된 경우, '최종면접대상자등록'을 하거나 UN과에 응모서류와 함께 지원사실을 통보하면 외교경로를 통해 채용을 위한 지원 및 필요시 교섭 실시. 

 

http://ask.nate.com/qna/view.html?n=62610

 

국제기구직원 모집 안내
1. 국제기구 직원이란 무엇인가?

가. 국제기구 직원

1) 국제기구 직원의 신분

* UN, UNDP, IAEA, WHO 등 각종 국제기구에 소속되어 주어진 공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국제기구 직원 또는 국제공무원이라고 함.

* 국제기구 직원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소속기구의 장(長)에 대해 책임을 지고 그 지위가 요구하는 독립성을 유지하여야 함.

* 국제기구 직원은 국제법상 그 직무를 지장없이 수행하는데 필요한 국제공무원으로서의 특전이 인정됨.

 

2) 직원의 종류 : 국제기구에 근무하는 직원은 직무의 내용에 따라 크게 세가지로 분류

 

① 전문직 직원(Professional Staff)

사무국의 중심으로서 관리, 감독역할 수행 - 사무총장 (Secretary-General)

- 사무부총장 (Deputy-Secretary-General)

- 사무차장 (Under-Secretary-General)

- 사무차장보 (Assistant-Secretary-General)

 

D-2 (Directors) : 국장급

D-1 (Principal Officers) : 부국장급

P-5 (Senior Officers) : 과장급

P-4 (First Officers) : 과장급

P-3 (Second Officers) : 실무직원

P-2 (Associate Officers) : 실무직원

P-1 (Assistant Officers) : 실무직원

 

※ 위에서 예시한 직급은 유엔의 경우이며, 각 기구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슴. ※

 

② 필드 전문가 (technical assistance project personnel) : 일정기간 주로 개도국에 파견되어 기술원조 및 지도

UN, UNIDO, FAO, ILO, WHO, UNESCO 등 국제기구는 개도국에 대한 기술원조 사업의 일환으로 특정기술분야의 전문가를 원조 요청국의 요청에 따라 3개월에서 3년 정도 파견

필드 전문가는 해당 전문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및 경험 보유 필수

직급 및 급여제도가 전문직 직원과 차이가 있으며, 유엔의 경우 Level 7-Level 1로 구분

 

※ L-7은 D-2에, L-6는 D-1에 해당 ※

 

③ 기능직 직원 (general service) : 비서, 타이피스트, 운전수 등으로 현지 채용 원칙 적용

 

3) 국제기구 인사제도의 특징

* 승진이 대단히 어려우므로 처음 채용되는 직급이 매우 중요

* 통상 P-2에서 P-4까지는 1직급 승진당 약 4-5년 정도 소요되며, P-4에서 P-5까지는 약 5-7년, P-5에서 D-1까지는 약 10년이 소요

* 각 직급별로 필요한 학력 및 경력기준이 정해져 있슴.

* 직원채용은 직원의 사임, 기한부임용 직원의 임기 종료, 다른 국제기구로의 전출, 새로운 보직의 창설 등에 따른 공석 발생시 이루어지므로 부정기적임.

* 필드 전문가의 경우에는 원조 요청국의 요청에 따라 전문가를 모집함.

* 국제기구의 경우 직원채용 직후부터 직무를 즉시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경험을 구비하고 있을 것을 기대

 

4) 신분보장

* 임용자는 국제공무원으로서 정년퇴직(62세)시까지 신분 보장을 받게 됨.

* 국제기구는 2중 국적자를 인정하지 않으므로 2중 국적자는 임용시 1개의 국적을 선택해야 함.

* 국제기구 직원은 자기 나라의 여권과 유엔여권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엔 여권 (Laissez-Passer)을 가지면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음.

 

5) 근무조건 (유엔사무국의 경우)

* 근무시간 : 09:00-17:00 * 휴가일수 : 1년에 30일 (working days)

* 노조활동 : D급 이상 간부를 제외하고는 누구나 노조에 가입할 수 있으며, 노조의 영향력 막강

* 연 금 : 유엔에 5년 이상 근무한 직원은 연금을 받을 수 있음.

 

6) 국제기구 직원(P 레벨)의 기준연령 및 필요 경력
레벨 연령제한 학력별 필요 경력 연수

Ph.D MA BA P-1
P-2
P-3
P-4
P-5

* 필드 전문가의 등급은 연령 및 경력에 따라 정해지지만 10년 이상 전문직 경험이 있고 35세 이상
이어야 함.

나. 채용 절차

1) 선발방법

* 직원의 퇴직, 전출, 보직신설 등으로 결원이 발생하고 내부에 적임자가 없는 경우 국제적으로 공모함.

* 필요한 보직의 직무내용, 자격요건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직원모집 공고가 회원국 정부 및 관련기관에 배포됨.

* 때로는 각국 정부에 직원모집 공고가 도착하기 전에 이미 결원이 보충되는 경우도 있슴. 이는 공고에 명시된 마감기일 이전에라도 적임자가 있으면 임용절차를 진행시키기 때문임.

 

2) 응모절차

* 직원모집 공고가 된 보직에 맞는 학력 및 경력을 소유한 사람은 공고문상의 응모요령에 따라 해당기구에 응모

* 국제기구에서 송부되어 오는 직원모집 공고는 응모기한이 4주정도인 경우가 많으므로 직원 모집 정보를 접하면 가급적 신속히 응모수속을 해야 함.

 

3) 선발

* 응모서류가 국제기구에 제출되면 해당 국제기구의 인사담당관에 의해 서면 심사가 이루어짐.

    독자적인 후보자 등록제도를 가지고 있는 국제기구에서는 등록된 후보자를 중심으로 선발

* 서류심사에 합격하면 면접 실시

* 면접은 통상 해당 국제기구 사무국에서 이루어지나 지역사무소에서 행해지는 경우도 있으며,

    관계부서 직원이 출장하여 행해지는 경우도 있슴.

* 면접은 후보자의 적격성의 평가와 고용에 관한 당사자간의 협의라는 두가지 성격을 가짐. 통상 제출된 서류의 기재사항, 특히 학력 및 경력을 중심으로

   후보자의 상세한 설명을 듣는 형식으로 진행됨.

* 면접은 채용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으로 면접없이 채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슴.

 

4) 신원조회 (Reference)

* 면접이 끝나면 학교관계, 경력관계 및 본인의 응모서류에 신고된 추천자에 관한 조회가 행해짐

 

5) 신체검사 : 신체검사 합격은 채용의 조건이므로 후보자는 반드시 신체검사를 받아야 함.

6) 선발위원회의 심의 및 사무총장의 승인 필요

* 필수적인 법적절차로, 이것을 끝내면 채용이 내정됨.

 

7) 후보자에 대한 Offer (임용 통지서의 교부)

* 후보자에 대한 공적, 법적수속에 기초한 채용의 의사표시임.

    후보자가 수락하고 부임시기에 관해 후보자와 국제기구가 합의하면 후보자는 승락서를 제출함. 이 승락서를 국제기구가 수리하면 채용이 결정됨.

 

* 최근에는 전보 등에 의해 후보자에게 채용 내정 사실을 통보하고, 상기 부임시기 등에 관해 전보 등으로 후보자의 의사표시를 구하고,

    부임시기 등에 관해 합의되면, 임용통지서를 발송하는 예도 있음.

 

8) 부임선서, 임용통지서 서명 : 부임시기가 확정되면, 국제기구에 의해 항공료가 지급되고 부임 수속이 이루어짐.

    도착하면 당해 기구의 사무총장 또는 대리자의 면전에서 선서를 함. 또한 본인의 직무내용, 고용조건을 명기한 임용통지서에 서명하게 됨.

 

9) 소요기간

* 통상의 경우, 국제기구측의 채용수속에 소요되는 기간은 서면심사, 면접, 신원조회 등에 4-6월, 선발위원회의 심의,

    사무총장의 결재에 1개월, 부임까지 2개월 정도 예상할 필요가 있슴.

 

* 최근 채용수속기간이 장기화되는 경향이 있어 응모후 부임까지 1년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있음 10)필드 전문가의 경우

 

* 비교적 단기간 필드에 파견되는 기술 전문가의 경우 접수국측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국제기구측에서 적격이라고 인정되는 시점에 접수국의 승인을 반드시 얻어야 함. 다. 기타 충원방법

 

1) 유엔직원 채용 경쟁시험

* 유엔 등 많은 국제기구에는 전문직원을 가능한 광범한 지리적 기초에 근거해 채용하고 있어 직원구성의 지리적 배분의 원칙을 채택해 분담금 부담정도등에 기초하여 각국별로 적정 직원 수를 결정하고 있음.

 

* 유엔사무국은 P-1∼P-3급 보직의 채용을 목적으로 채용 경쟁시험을 실시하고 있음.

    이것은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것은 아니고 우리나라의 경우 92년 이래 4차례 실시됨.

 

* 이러한 유엔 직원채용 경쟁시험의 응시분야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한정되어 있는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시험분야는 정치, 재정, 통계, 행정, 전산, 도서관학, 인구학 등임.

 

* 유엔직원 채용 경쟁시험 분야 및 일정 등이 결정되면 수개월 전에 대한매일신문 등을 통해 공고 시 험 채용기관 대상직급 응모자격 응모시기 시험종목 유엔직원 채용

경쟁시험(UN주최) UN,ESCAP,HABITAT등
P-1∼P-3의 정규직원 학사이상 39세 이하 부정기적 서류전형

필 기
면 접 수습직원 채용시험
(UNESCO 주최) UNESCO P-1의
연수생 (1년간) 학사이상
30세 미만 부정기적 서류전형
면 접

 

※ 유엔 경쟁시험의 모집분야;행정, 경제, 법률, 정치, 정보처리, 통계등이나 해마다 차이가 있음.※

2) JPO(Junior Professional Officer)제도

* 정규 국제공무원을 희망하는 사람을 일정기간(원칙적으로 2년간) 국제기구에 회원국 정부부담 조건으로 파견,

    국제기구 근무를 통해 전문지식과 국제적 업무의 체험을 축적 하도록 하는 제도

 

* JPO 파견자중 근무성적이 우수한 사람은 파견기간 종료후 해당 국제기구 또는 다른 국제기구에 정규직원으로 채용되는 경우도 있음.

  ※ 우리정부는 JPO 제도를 96년부터 시행중 ※

 

3) 채용 방문

* 국제기구의 공석은 세계각국의 후보자를 대상으로 공모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현저히 under-representation 상태에 있는 국가를 위해 국제기구가 그 국가 후보자를 대상으로 서류전형을 통과한 사람과의 면접을 목적으로 담당관을 파견하는 경우가 있음.

 

* 이러한 직원채용 방문은 특정의 공석을 염두에 두고 응모자를 모집하는 것과 적당한 공석이 생기는 경우에 offer하기 위한 유자격자를 찾아내기 위한 목적에서 하는 두 종류가 있음.

 

다. Intern 제도

1) 개 요

* 대학(원)생들이 경비를 본인 또는 추천기관이 부담하는 조건하에 주요 국제문제와 국제기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국제기구에서 2개월 또는 수개월 훈련 받는 제도

 

2) UN본부

Posted by Celestia